물가(物價)는 그대로 이해를 하면 물건의 가격입니다. 그러나 평소 대화에서 물가라고 하면 "내가 자주 구매하는 물건들의 가격"을 아울러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나의 물건의 가격을 물가라고 하지 않는 것을 보면 여러 물건의 가격을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여러 물건의 가격을 모두 나열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가격으로 나타내는 것을 물가 또는 물가 수준이라 하고 기준을 정하여 비교하기 좋게 지수로 나타낸 것을 물가지수라고 합니다.
● 물가(물가수준)이란?
오로지 두 종류의 과일 사과, 바나나만이 거래가 된다고 생각해봅니다. 사과 1개의 가격은 200원, 바나나 1개의 가격은 300원입니다. 총거래량은 사과가 3000만 원, 바나나가 2000만 원이라고 가정을 합니다. 그러면 과일의 가격을 하나로 나타낸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그렇습니다. 평균을 그 하나의 가격으로 나타내면 됩니다. 다만 거래되는 양을 고려해서 평균을 내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즉, 가중 평균(혹은 기댓값)을 생각하면 됩니다. 사과의 거래 비중은 \( \frac {3000}{3000+2000} = \frac {3}{5} \)이고 바나나의 거래 비중은 \( \frac {2000}{3000+2000} = \frac {2}{5} \)입니다. 따라서 과일의 가격을 하나로 나타낸다면 $$ \frac {3}{5} \times 200 + \frac {2}{5} \times 300 = 240 $$입니다. 이렇게 시장에서 거래되는 물건의 비중에 따른 평균을 낸 하나의 값을 물가 또는 물가 수준이라고 합니다. 물가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는 소비자물가, 생산자물가, 생활물가, 수출물가, 수입물가 등이 있습니다.
● 물가지수란?
해마다 변하는 물가 수준을 비교하기 쉽도록 기준연도를 100으로 두고 상대적인 값으로 나타낸 것을 물가 지수라고 합니다. 한 해의 물가지수는 해당 연도 물가를 기준 연도 물가로 나누고 100을 곱하여 구합니다. 즉, 어느 한 해에 대한 상대적인 수준을 나타냅니다.
미국 야구의 전설 베이브 루스 선수의 연봉은 1932년에 75,000달러였습니다. 이 연봉은 뉴욕 양키스 선수 평균 연봉의 10배에 해당하는 큰 금액이었습니다. 한편, 2020년 뉴욕 양키스 팀 상위 12명의 연봉 평균은 17,540,000달러입니다. 명목금액(숫자 그대로)의 금액은 차이가 크지만 오래 전의 금액과 바로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당시 팀 평균 연봉의 10배를 받은 베이브 루스 선수의 연봉은 많이 받은 것일까요? 아닐까요? 1932년의 물가 대비 2020년의 물가가 얼마나 되는지를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즉, 1932년의 75,000달러로 구매할 수 있는 여력을 2020년으로 생각하면 어떻게 되는지 보면 됩니다. 이럴 때 물가지수가 필요합니다. 1932년의 75,000달러의 구매력을 2020년의 구매력으로 바꾸면 약 13,800,000달러입니다. \( \frac {13800000}{17540000} \times 100= 78.67 \)입니다. 베이브 루스 선수는 2020년 상위 12명의 연봉 평균의 78% 정도의 연봉을 받은 것입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베이브 루스 | 상위 12명의 선수 평균 연봉(2020) | |
1932년 | 75,000달러 | |
2020년 | 13,800,000달러 | 17,500,000 |
78% | 100% |
물가지수는 경제성장, 국제수지 등과 함께 한 나라의 경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일정기간 동안의 생계비 또는 화폐가치의 변화를 알 수 있고 명목금액으로 실질금액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시장에 거래되는 물건의 비중에 따른 평균을 낸 하나의 값이 물가(물가 수준)이다.
- 변하는 물가(물가 수준)를 기준연도를 100으로 하여 비교하기 쉽도록 지수로 나타낸 것이 물가지수이다.
- 물가지수를 통해 향후 경제를 가늠할 수 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