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비자물가지수(CPI)란?

by 경지공지기 2022. 9. 20.

엄청나게 많은 상품과 서비스가 거래되고 있습니다. "요새 물가가 너무 올랐어?"라고 하는 것에서 필요한 것은 두 가지입니다. 시간 기준과 많은 상품과 서비스를 대표할 수 있는 값입니다. 이 두 가지를 모두 생각하는 것이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CPI)입니다. 

 

● 소비자물가지수(CPI)란?

도시가구가 구입하는 품목 및 서비스 요금의 변동을 나타내기 위한 지수입니다. 2020년 기준으로 38개의 도시에서 12개의 대분류 품목으로 나누어진 460여 개의 품목을 조사합니다. 이 품목들은 가계 지출의 1/10000을 넘는 것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지출 비중에 따라 가중을 주어 평균을 구한 것을 소비자물가지수라고 합니다. 이 중에서 자주 구매를 하는 상품 144개에 대한 지수를 다시 산출한 보조지수로 생활물가지수가 있습니다. 다음은 2011년부터 2021년까지 소비자물가지수에 대한 표입니다. 

소비자물가지수와-대분류-품목군
소비자물가지수와 대분류 품목군 그리고 상승률

소비자물가지수는 지수이므로 기준 연도가 있습니다. 표의 첫 행은 기준 연도를 2020년으로하여 100으로 두고 다른 해에 상대적인 크기를 산정한 것입니다. 지수의 숫자 자체는 의미가 없고 상대적인 변화를 보는 것이 주목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첫 열에는 12개의 대분류 품목군이 모두 나와있습니다.

 

(여기서 참고로 행은 가로를 나타내고 열은 세로를 나타냅니다. 이것도 헛갈리신가요? 그러면 "비 기구"를 기억하세요. 비행기는 가로로 날고 열기구는 세로로 올라가지요? 이렇게 기억하면 절대 잊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면 대표 품목군은 어떻게 선정이 되고 그들의 가중치 어떻게 정하는 것일까요? 또, 그 가격의 조사는 어떻게 하는 것일까요? 대표 품목군의 선정 기준은 

 

  1. 전국 가구 월평균 소비지출액이 일정 비율 이상
  2. 동종 품목군의 가격을 대표할 수 있음
  3. 시장에서 계속적으로 가격 동향을 파악할 수 있음

 

입니다. 그러나 가계에서 지출을 하는 것 중에 품목군에 속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세금, 저축, 투자, 부채 상환 등의 지출은 소비지출로 보기 어렵겠죠? 그래서 소비자물가지수 산정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가격의 조사는 매월 1회 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되 농수산물과 같이 가격 변동이 있는 것은 3회를 조사하여 평균을 냅니다. 모든 점포를 방문하는 것은 시간, 비용이 어마어마하게 들고 실제로 모두 조사하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표본을 뽑아서 조사하는 표본조사를 통해 통계를 냅니다. 전국 40여 개의 도시에서 조사를 하고 자주 가는 소매점을 선정합니다. 

각 상품의 가중치는 총합이 1000이 되도록 '가계동향조사'를 통해서 부여합니다. 현재(2022년) 사용하고 있는 가중치는 2020년에 조사된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지출목적별 가중치입니다. 

CPI-가중치
CPI 지출목적별 가중치

 

● 숫자의 의미

표를 구성하는 숫자는 상승률입니다. 상승률의 계산은 당해연도 지수를 직전연도 지수로 나누고 1을 뺀 후 100을 곱합니다. 즉,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 소비자물가상승률=\left( \frac {당해연도 지수}{직전연도 지수} -1 \right) \times 100 $$ 직전연도에 비하여 얼마나 증가 또는 감소했는지를 계산하는 것입니다. 수익률과 상승률은 같은 방법으로 계산합니다.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수익률, 상승률 계산하는 방법

수익률 57%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그러면 상승률 57%는 같은 것일까요? 일반적으로 수익률 몇 % 이다라는 것에는 두 가지가 고려된 것입니다. 투자된 금액과 시간입니다. 이 두 가지가 어떻

ecinst.tistory.com

 

표의 숫자를 한 번 잘 살펴보세요. 특히 눈에 띄는 숫자가 있으신가요? 그렇습니다. 2015년 주류 및 담배의 지수 상승률이 무려 50.1입니다. 무슨 일 있었던 것일까요? 담뱃값이 인상되었습니다. 평균적으로 1갑에 2500 원하던 가격을 4500원으로 올렸습니다. 정부의 입장은 2004년 이후 10여 년간 담뱃값은 동결되어 실질 가격은 하락하였고  OECD 34개국에서 최저 수준이므로 큰 폭의 인상이 필요하다는 것이었습니다.

 

● 지수의 활용

소비자물가지수는 정부가 경기를 가늠하고 국민연금에서 화폐의 구매력을 고려한 연금 지금액을 판단하는 것과 같은 국정 운영에 필요한 판단을 내릴 때 사용합니다. 즉, 

 

  • 경기 판단의 지표
  • 화폐의 실질 구매력을 확인
  • 향후 통화정책의 목표 수립

와 같은 곳에 쓰입니다.

 

댓글